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한국에 온다고 해서 산업계는 물론 주식시장까지 들썩거렸습니다. 그 관련 뉴스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단어가 바로 '네옴시티(NEOM CITY)'입니다. 빈 살만 왕세자가 주도하는 2030년을 목표로 한 대규모 신도시 건설사업인데, 그 스케일이 어마어마하다 못해 다소 비현실적으로 느껴질 정도입니다. 국내 기업들에 '제2의 중동 붐' 기대감을 부풀게 하는 네옴시티가 무엇인지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01. 네옴시티란?
네옴시티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친환경 미래도시 프로젝트입니다. 새로움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네오(Neo)'에 아랍어로 미래를 뜻하는 무스타크발(Mustaqbal)'의 'M'을 조합한 단어입니다. 사우디아라비아 북서쪽에 계획형 신도시를 짓는 것이 골자입니다. 총 사업비 5,000억 달러(약 668조 원)를 들여 2만 6,500 km², 서울 면적의 44배 넓이로 건설될 계획입니다.
네옴시티의 세부 프로젝트 중 가장 기대를 모으는 사업은 친환경 직선 도시 '더 라인'입니다. 지난 7월 사우디 정부가 공개한 조감도를 보면, 더 라인은 초고층 건물 2개가 사막과 산악 지형 170km를 직선으로 가로지르는 형태입니다. 두 건물 사이에 인공 숲과 강을 조성하고, 학교·직장·주택 등을 잇는 에어택시와 고속철도도 들어섭니다. 거대한 인공 달이 도시를 밝히고 그린 수소 등 친환경 전력을 이용해 1년 내내 도시의 기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겠다는 계획입니다.
02. 언제 완공될까?
완공 시 900만 명의 거주자가 다양한 경험을 즐길 수 있는 거주 단지가 될 이 도시는 운송 시스템을 활용하면 20분 이내에 도시의 양 끝을 이동할 수 있습니다. 걸어서 5분이면 도시의 어디든 갈 수 있으며, 2분이면 자연으로 바로 접근이 가능합니다. 100% 재생 가능 에너지로 구동되는 이 도시는 거대한 인공 달이 도시를 밝히고, 녹색 전력이 1년 내내 도시의 기온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스마트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과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건축물 겸 도시의 계획은 사람들에게 신선한 충격과 더불어 사우디아라비아는 나라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습니다. 이 도시는 2030년 완공을 목표로 개발이 진행 중입니다.
03. 네옴시티는 불가능하다?
세계 언론의 반응은 차가웠습니다. 현실에서 구현이 불가능한 구성인 데다 천문학적 비용이 든다는 이유에서였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지난 7월 1일 "네옴의 가장 큰 문제는 비용과 규모가 아니다. 권력 의지의 거대함이 (네옴의) 디엔에이(DNA)에 새겨져 있다는 것"이라고 꼬집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5년 전 석유 중심 경제 구조를 탈피하기 위한 국가 장기 프로젝트 '사우디 비전 2030'을 발표했습니다. 그 일환으로 5,000억 달러(약 668조 원)를 투자하는 최첨단 미래형 친환경 도시인 '네옴'을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 홍해 인근 사막 2만 6,500 km²에 지어지는 네옴시티는 서울의 44배 규모로, 쿠웨이트나 이스라엘보다 넓습니다. 사우디는 네옴시티 안에 바다 위 산업단지인 '옥사곤', 사막 위 스키장을 갖춘 관광단지인 '트로제나', 지난달 발표한 직선 도시 '미러 라인'을 만들어 총 900만 명의 인구를 끌어들이겠다는 계획입니다. 이 사업을 완성하는데 약 1조 달러 (약 1,300조 원)가 들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04. 그 돈은 다 어디서 난 걸까?
사우디아라비아는 왕이 나라를 지배하는 구조이며, 왕가의 주된 수익은 '석유(Oil Money)'입니다. 석유 가격은 엄청난 가격 상승을 보여주며 1987년 이후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가격대에 위치해있습니다. 사우디 왕가에서는 엄청난 수익을 볼 수밖에 없는 구간입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2022년 전 세계 GDP 성장률은 7% 후반으로, 전 세계 성장률 1위를 달성합니다. 그러니 전 세계 기업들의 눈이 사우디아라비아로 향할 수밖에 없으며 현재와 같은 경제 침체 상황 속에서도 유일하게 확장재정을 펼칠 수가 있습니다.
전 세계 언론, 건축가들은 이 프로젝트 발표를 보고 헛된 꿈이라는 의견도 있지만 왠지 사우디라면 가능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영화에서나 볼 수 있는 미래의 도시 '네옴시티'가 어떻게 만들어지게 되는지 영상을 살펴보며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메타버스란 (Metaverse) 무엇인가? - 무한한 확장 가능성
여기저기서 메타버스가 들리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메타버스에 대한 정확한 정의를 알고 말하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요? 뉴스에도 자주 나오기 시작하고, 사람들의 입방아에 오르내리니 듣긴 들
adsensery.tistory.com
웹 3.0이란 개념과 관련 코인에는 무엇이 있을까?
컴퓨터가 보급된 이후 가장 큰 혁신이라고 불리는 것은 바로 인터넷입니다. 이러한 인터넷을 우리는 '웹(Web)'이라고도 칭하며, 특징에 따라 세대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웹 1.0, 웹 2.0에 이어 최근
adsensery.tistory.com
해당 글은 지속적으로 수정·보완될 예정입니다.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이슈 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란봉투법이란, 유래 및 해외 사례는 어떠한가? (0) | 2022.12.06 |
---|---|
원전 및 SMR의 개념, 그리고 원자력 발전소의 한계는? (0) | 2022.12.05 |
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NATO)의 뜻과 나토는 무엇을 하는가? (0) | 2022.11.24 |
튀르키예와의 악연, 쿠르드족은 어떤 민족인가? (0) | 2022.11.22 |
방탄소년단(BTS) 콘서트 월드 투어, 코로나 여파로 결국 취소 (0) | 2021.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