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파생상품인 옵션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옵션에는 크게 콜옵션과, 풋옵션이 존재하는데, 이 둘의 개념과 차이를 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01. 콜옵션에 대한 개념과 예시
콜옵션은 추후에 어떠한 자산을 지금의 가격대로 사는 것입니다. 살 수 있는 권리를 매매하는 것을 뜻하며, 오를 것에 배팅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쉽게 말해서 100원짜리 상품이 있으면, 그 상품 현재가는 100 원지만 1달 후에는 가격 변동이 생겨나는 상품입니다. (150원이 될 수도 있고, 50원이 될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콜옵션 매수란 100원에 살 권리를 10원에 프리미엄을 주고 사는 것을 말합니다. 10원을 주고 100원에 살 권리만 사는 것입니다. 1달 후에 상품이 150원이 되면, 이미 100원에 살 권리를 샀기 때문에 150원짜리를 100원에 살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50원의 이득이 생기게 됩니다. 여기서 10원을 프리미엄으로 지불했으므로 총 40원의 이익을 얻은 셈입니다.
반대로 100원짜리 상품이 50원으로 떨어졌을 경우 100원에 살 권리가 있는데 50원짜리를 100원에 살 필요가 없으므로 단순히 권리를 포기하게 됩니다. 그러면 10원의 손해만 보는 것입니다.
즉, 콜옵션 매수는 이익은 무한대이지만 위와 같이 손해는 프리미엄 값 10원에 한정돼 있는 상품입니다. 위와 반대로 콜옵션을 매도한 사람은 프리미엄 값 10원만 벌고, 손실은 무한대가 되는 것입니다.
02. 풋옵션에 대한 개념과 예시
풋옵션은 콜옵션의 반대 개념입니다. 추후에 어떠한 자산을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뜻하며, 떨어질 것을 예상한 배팅입니다. 100원짜리 상품이 있고 조건은 콜옵션과 동일합니다. 풋옵션은 팔 권리를 삽니다. 100원짜리 상품이 150원으로 올랐으면, 풋옵션을 매수한 사람은 100원에 팔 권리가 있어 150원짜리를 100원에 팔 이유가 없습니다. 그러면 프리미엄 값 10원만 손해보고 팔 권리를 포기하면 됩니다.
반대로 100원짜리 상품이 10원으로 대폭락 했을 때는 풋옵션을 매수한 사람은 100원에 팔 권리가 있으므로 10원짜리 상품을 100원에 파는 것이 되므로 90원의 이익을 얻게 됩니다. 그리고 프리미엄 값 10원 빼면 총 80원의 이익을 얻습니다.
위와 반대로 풋옵션을 매도한 사람은 이익은 10원에 한정되어 있고 손해는 거의 무한대라고 볼 수 있습니다.
03. 옵션 거래
이러한 콜옵션과 풋옵션은 또 매수와 매도를 할 수 있습니다. 옵션 매수 시 지불한 옵션 프리미엄을 고려해야 하는데요, 옵션의 유형(콜옵션, 풋옵션)과 거래 포지션(매수, 매도)에 따라 정리를 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콜옵션
- 콜옵션 매수
- 콜옵션을 매수했다는 것은, 정해진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를 프리미엄(비용)을 주고 매수했다는 것입니다. 약정된 만기일에 콜 옵션 매도자에게 권리를 행사하거나 권리 포기가 가능합니다. 가격이 오르면 무한대이고 떨어지면 손해가 한정됩니다.
- 콜옵션 매도
- 콜옵션 매수자에게 프리미엄을 받게 됩니다. 만기에 콜 옵션 매수자가 권리를 행사할 시, 반드시 응해야 합니다. 가격이 떨어지면 이익은 한정이며, 손해는 무한대입니다.
- 콜옵션 매수
- 풋옵션
- 풋옵션 매수
- 정해진 가격에 팔 수 있는 권리를 사는 것으로 풋옵션 매도자에게 프리미엄을 지불하게 됩니다. 약정된 기간 만기 시에 매도자에게 권리를 행사하거나 포기할 수 있습니다. 손실은 프리미엄에 한정하며, 이익은 무한대입니다.
- 풋옵션 매도
- 풋옵션 매도자에게 프리미엄을 받게 됩니다. 특정한 상품에 대해 미리 정해둔 금액으로 정해진 기간 안에 해당 상품을 팔 수 있는 권리를 넘겨주었다는 뜻입니다. 풋옵션을 매수한 사람이 권리를 행사하는 경우 반드시 그에 응해야 합니다. 이익은 한정되며, 손실은 무한대입니다.
- 풋옵션 매수
위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콜옵션은 가격이 올라야 이득을 볼 수 있는 구조이고, 풋옵션의 경우는 가격이 떨어져야 이득을 볼 수 있는 구조입니다. 콜옵션과 풋옵션의 이해도를 높인다면 주식시장에서의 매매 이해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겠죠?
빅스(VIX) 지수란? 시장의 공포지수에 관하여
VIX지수는 주식시장 혼란에 빠질 때마다 상승하는 독특한 지수인데요, 요즘 투자자들이 많이 참고한다는 VIX 지수가 어떤 것인지, 투자할 때 왜 참고해야 하는지 그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
adsensery.tistory.com
MSCI 지수에 편입이 된다면? 편입 종목 찾아보기!
MSCI(모건스탠리 캐피털 인터내셔널)는 1년에 4번 지수를 리밸런싱 합니다. 리밸런싱을 할 때, MSCI 지수에 편입될 기업과 제외할 기업을 선정하는 것이죠. 지난달 8월 31일에 진행된 리밸런싱에서 S
adsensery.tistory.com
해당 글은 지속적으로 수정·보완될 예정입니다.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유동자산 꿀 정보 > 경제 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분할의 종류, 인적분할 vs 물적분할 전격 비교! (1) | 2022.12.13 |
---|---|
선물 거래란, 옵션과의 차이는? (Feat.만기일) (1) | 2022.12.12 |
빅스(VIX) 지수란? 시장의 공포지수에 관하여 (1) | 2022.12.07 |
RE100이란, RE100 기관에서 정부에게 보낸 서한 내용 정리! (1) | 2022.11.30 |
퇴직 연금이란? 종류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자! (1) | 2022.11.28 |